조회 수 2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전거를 타고 저어 갈 때, 세상의 길들은 몸속으로 흘러들어 온다. 강물이 생사가 명멸하는 시간 속을 흐르면서 낡은 시간의 흔적을 물 위에 남기지 않듯이, 자전거를 저어 갈 때 25,000분의 1 지도 위에 머리카락처럼 표기된 지방도·우마차로·소로·임도·등산로 들은 몸속으로 흘러들어 오고 몸 밖으로 흘러 나간다. 흘러오고 흘러가는 길 위에서 몸은 한없이 열리고, 열린 몸이 다시 몸을 이끌고 나아간다. 구르는 바퀴 위에서, 몸은 낡은 시간의 몸이 아니고 생사가 명멸하는 현재의 몸이다. 이끄는 몸과 이끌리는 몸이 현재의 몸속에서 합쳐지면서 자전거는 앞으로 나아가고, 가려는 몸과 가지 못하는 몸이 화해하는 저녁 무렵의 산속 오르막길 위에서 자전거는 멈춘다. 그 나아감과 멈춤이 오직 한 몸의 일이어서, 자전거는 땅 위의 일엽편주처럼 외롭고 새롭다.

 

 

 

자전거를 타고 저어 갈 때, 몸은 세상의 길 위로 흘러 나간다. 구르는 바퀴 위에서 몸과 길은 순결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몸과 길 사이에 엔진이 없는 것은 자전거의 축복이다. 그러므로 자전거는 몸이 확인할 수 없는 길을 가지 못하고, 몸이 갈 수 없는 길을 갈 수 없지만, 엔진이 갈 수 없는 모든 길을 간다.

구르는 바퀴 위에서, 바퀴를 굴리는 몸은 체인이 매개하는 구동축을 따라서 길 위로 퍼져 나간다. 몸 앞의 길이 몸 안의 길로 흘러들어 왔다가 몸 뒤의 길로 빠져나갈 때, 바퀴를 굴려서 가는 사람은 몸이 곧 길임을 안다. 길은 저무는 산맥의 어둠 속으로 풀려서 사라지고, 기진한 몸을 길 위에 누일 때, 몸은 억압 없고 적의 없는 순결한 몸이다. 그 몸이 세상에 갓 태어난 어린 아기처럼 새로운 시간과 새로운 길 앞에서 곤히 잠든다.

갈 때의 오르막이 올 때는 내리막이다. 모든 오르막과 모든 내리막은 땅 위의 길에서 정확하게 비긴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비기면서, 다 가고 나서 돌아보면 길은 결국 평탄하다. 그래서 자전거는 내리막을 그리 워하지 않으면서도 오르막을 오를 수 있다.

오르막을 오를 때 기어를 낮추면 다리에 걸리는 힘은 잘게 쪼개져서 분산된다. 자전거는 힘을 집중시켜서 힘든 고개를 넘어가지 않고, 힘을 쪼개 가면서 힘든 고개를 넘어간다. 집중된 힘을 폭발시켜 가면서 고개를 넘지 못하고 분산된 힘을 겨우겨우 잇대어 가면서 고개를 넘는다.

1단 기어는 고개의 가파름을 잘게 부수어 사람의 몸속으로 밀어 넣고, 바퀴를 굴려서 가는 사람의 몸이 그 쪼개진 힘들을 일련의 흐름으로 연결해서 길 위로 흘려보낸다. 1단 기어의 힘은 어린애 팔목처럼 부드럽고 연약해서 바퀴를 굴리는 다리는 헛발질하는 것처럼 안쓰럽고, 동력은 풍문처럼 아득히 멀어져서 목마른 바퀴는 쓰러질 듯 비틀거리는데, 가장 완강한 가파름을 가장 연약한 힘으로 쓰다듬어 가며 자전거는 굽이굽이 산맥 속을 돌아서 마루턱에 닿는다.

그러므로 자전거를 타고 오르막을 오를 때, 길이 몸 안으로 흘러들어 올 뿐 아니라 기어의 톱니까지도 몸 안으로 흘러들어 온다. 내 몸이 나의 기어인 것이다. 오르막에서, 땀에 젖은 등판과 터질 듯한 심장과 허파 는 바퀴와 길로부터 소외되지 않는다. 땅에 들러붙어서, 그것들은 함께 가거나, 함께 쓰러진다.

신비라는 말은 머뭇거려지지만 기진한 삶 속에도 신비는 있다.

오르막길 체인의 끊어질 듯한 마디마디에서, 기어의 톱니에서, 뒷바퀴 구동축 베어링에서, 생의 신비는 반짝이면서 부서지고 새롭게 태어나서 흐르고 구른다. 땅 위의 모든 길을 다 갈 수 없고 땅 위의 모든 산맥을 다 넘을 수 없다 해도, 살아서 몸으로 바퀴를 굴려 나아가는 일은 복되다.

- 김훈, <자전거 여행>

<보기>에서 의 속성에 해당하는 것을 골라 바르게 묶은 것은?

. 자연과 동화되는 순간에 느낄 수 있다.

. 몸이 매우 힘든 상황에서 발견할 수 있다.

.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멸·변화·생성된다.

. 살아온 삶을 돌이켜 볼 때 확인할 수 있다.

 

① ㄱ,

② ㄱ,

③ ㄴ,

④ ㄴ,

⑤ ㄷ,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극수필 어떤글 2018.11.12 689
75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고전산문 어떤글 2018.11.12 918
74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고전시가 어떤글 2018.11.12 725
73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현대소설 어떤글 2018.11.12 642
72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현대시 어떤글 2018.11.12 755
71 2018 수능특강 어부 - 이옥 어떤글 2018.06.19 492
70 2018 수능특강 황순원 이리도 어떤글 2018.06.04 498
69 2018 수능특강 서동지전 어떤글 2018.05.16 365
68 2018 수능특강 채만식 태평천하 어떤글 2018.05.16 653
67 2018 수능특강 흥부전 어떤글 2018.05.16 397
66 2018 수능특강 봉산탈춤 어떤글 2018.05.16 741
» 2018 수능특강 김훈 자전거여행 어떤글 2018.05.16 257
64 2018 수능특강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 어떤글 2018.04.28 412
63 2018 수능특강 장진 웰컴 투 동막골 어떤글 2018.04.10 375
62 2018 수능특강 서편제 어떤글 2018.04.03 420
61 2018 수능특강 이강백 파수꾼 어떤글 2018.04.02 852
60 2018 수능특강 양주별산대놀이 어떤글 2018.03.17 645
59 2018 수능특강 규중칠우쟁론기 어떤글 2018.03.09 422
58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실체 어떤글 2016.07.18 238
57 르네 지라르와 아도르노 홍반장 2016.07.13 2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