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03 19:49

2018 수능특강 서편제

조회 수 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편제는 원작과 비교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긴 글의 경우 중략 부분이거나 제시된 부분의 앞 뒤를 읽어 둘 필요가 있다.

원작 이청준(병신과 머저리, 잔인한 도시, 줄, 매잡이, 눈길) 감독 임권택, 각색 김명곤의 작품.

긴 서자치고는 그다지 많은 인물이 등장하는 것도 아니고 갈등요소가 아주 복잡한 것도 아니다. 의붓남매인 동호와 송화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줄거리는 아래와 같다.

 

1960년대 초 전라도 보성 소릿재, 30대의 동호(김규철 역)는 소릿재 주막주인의 판소리 한 대목을 들으며 회상에 잠긴다. 소리품을 팔기 위해 어느 마을 대가집 잔치집에 불려온 소리꾼 유봉(김명곤 역)은 그곳에서 동호의 어미 금산댁을 만나 자신이 데리고 다니는 양딸 송화(오정해 역)와 함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동호와 송화는 오누이처럼 친해지지만 아기를 낳던 금산댁은 아이와 함께 죽고 만다. 유봉은 소리품을 파는 틈틈이 송화에게는 소리를, 동호에게는 북을 가르쳐 둘은 소리꾼과 고수로 한 쌍을 이루며 자란다.

그러나 소리를 들어주는 사람들이 줄고 냉대와 멸시 속에서 살아가던 동호는 어미 금산댁이 유봉 때문에 죽었다는 생각과 궁핍한 생활을 견디다 못해 집을 뛰쳐나간다. 유봉은 송화 또한 떠나갈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소리의 완성에 집착해 약을 먹여 송화의 눈을 멀게 한다.

유봉은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는 송화를 정성을 다해 돌보지만 죄책감 때문에 괴로워하다가 결국 송화의 눈을 멀게 한 일을 사죄하고 숨을 거둔다. 유봉이 죽자 송화는 떠돌면서 소리를 하며 살아간다.

그로부터 몇년 후 그리움과 죄책감으로 송화와 유봉을 찾아나선 동호는 어느 이름없는 주막에서 송화와 만난다. 북채를 잡은 동호는 송화에게 소리를 청하고, 송화는 아비와 똑같은 북장단 솜씨인 그가 동호임을 안다. 그리고 그들은 또 다시 헤어짐의 길을 떠난다.

 서편제 [西便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왜 송화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였을까. 동호는 어떤 식으로 그 운명을 거부했을까. 한이라는 감정의 예술적 승화가 이 작품의 중요 모티브가 될 텐데, 송화와 동호의 마지막 만남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할까.

난 이 작품이 그다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1.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동호는 송화를 만나기 전까지 한동안 북을 치지 않았다.

송화는 예전부터 간절한 마음으로 동호를 기다리고 있었다.

송화는 소리를 하는 동안 동호의 정체를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염전 주막에 머물고 있는 송화가 소리를 한다는 소문이 퍼져 있었다.

염전 주막에서 숙박하고 가는 손님들이 요즘에는 과거에 비해 줄었다.

 

2.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시나리오는 장면(scene)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어떤 방식으로 연계시킬 것인가가 중요하다. 연계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그중의 하나가 두 장면들 간의 공통성과 대립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S# 89’‘S# 95’는 동호가 주막에 들어오는 상황과 주막을 떠나는 상황의 대립성을 통해 연계되는군.

‘S# 91’‘S# 92’는 송화가 동일한 제목의 판소리를 부르고 있는 공통성을 통해 연계되는군.

‘S# 91’‘S# 93’은 동호가 송화를 뚫어지게 바라보는 모습의 공통성을 통해 연계되는군.

‘S# 93’‘S# 94’는 밤과 아침이라는 시간의 대립성을 통해 연계되는군.

‘S# 93’‘S# 96’은 동호의 발화 내용과 송화의 발화 내용의 공통성을 통해 연계되는군.

 

3.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을 순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시간의 경과를 보여 주고 있다.

② ㉠에 대한 회상을 통해 과거 아름다웠던 시절을 부각하고 있다.

③ ㉠의 대비를 통해 동호와 송화의 갈등 관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④ ㉠의 반복을 통해 동호와 송화가 헤어졌던 기간이 오래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⑤ ㉠에서 으로의 변화를 통해 동호의 내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극수필 어떤글 2018.11.12 689
75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고전산문 어떤글 2018.11.12 918
74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고전시가 어떤글 2018.11.12 725
73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현대소설 어떤글 2018.11.12 642
72 2018 EBS 기출작품과 수능 기출 - 현대시 어떤글 2018.11.12 755
71 2018 수능특강 어부 - 이옥 어떤글 2018.06.19 492
70 2018 수능특강 황순원 이리도 어떤글 2018.06.04 498
69 2018 수능특강 서동지전 어떤글 2018.05.16 365
68 2018 수능특강 채만식 태평천하 어떤글 2018.05.16 653
67 2018 수능특강 흥부전 어떤글 2018.05.16 397
66 2018 수능특강 봉산탈춤 어떤글 2018.05.16 741
65 2018 수능특강 김훈 자전거여행 어떤글 2018.05.16 257
64 2018 수능특강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 어떤글 2018.04.28 412
63 2018 수능특강 장진 웰컴 투 동막골 어떤글 2018.04.10 375
» 2018 수능특강 서편제 어떤글 2018.04.03 420
61 2018 수능특강 이강백 파수꾼 어떤글 2018.04.02 852
60 2018 수능특강 양주별산대놀이 어떤글 2018.03.17 645
59 2018 수능특강 규중칠우쟁론기 어떤글 2018.03.09 422
58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실체 어떤글 2016.07.18 238
57 르네 지라르와 아도르노 홍반장 2016.07.13 2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