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28 20:19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조회 수 12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江湖(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興(흥)이 절로 난다.

濁醪溪邊(탁료계변)에 錦鱗魚(금린어)ㅣ 안주로다.

이 몸이 閒暇(한가)하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江湖(강호)에 녀름이 드니 草堂(초당)에 일이 업다.

有信(유신)한 江波(강파)는 보내느니 바람이다.

이 몸이 서늘하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江湖(강호)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잇다.

小艇(소정)에 그물 시러 홀리 띄여 더뎌 두고,

이 몸이 消日(소일)하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江湖(강호)에 겨월이 드니 눈 기픠 자히 남다.

삿갓 빗기 쓰고 누역으로 오슬 삼아,

이 몸이 칩지 아니하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현대어 풀이

 

강호(자연)에 봄이 찾아오니 깊은 흥이 절로 일어난다.

막걸리를 마시며 노는 시냇가에 싱싱한 물고기가 안주로다.

이 몸이 이렇듯 한가하게 노니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강호에 여름이 찾아오니 초당에 있는 이 몸은 할 일이 없다.

신의가 있는 강 물결은 보내는 것이 시원한 바람이로다.

이 몸이 이렇듯 시원하게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강호에 가을이 찾아오니 물고기마다 살이 올라 있다.

작은 배에 그물을 싣고 가 물결 따라 흐르게 던져 놓고

이 몸이 이렇듯 소일하며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강호에 겨울이 찾아오니 쌓인 눈의 깊이가 한 자가 넘는다.

삿갓을 비스듬히 쓰고 도롱이를 둘러 덧옷을 삼으니

이 몸이 이렇듯 춥지 않게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작품의 해제

 

○작자 : 맹사성(孟思誠)

○연대 : 세종 때

○종류 : 평시조, 연시조(連時調)

○명칭 : 강호가(江湖歌), 강호사시가(江湖四 時歌), 사시한정가(四時閒情歌), 강호한정가 (江湖閑情歌)

○구성

계절에 따라 한 수씩 노래하였다. 각 수는 ‘江湖(강호)’로 시작하여 ‘亦君恩(역군은) 이샷다’로 끝을 맺었다.

○내용 :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安貧樂道)하 는 선비의 생활을 읊은 것이다.

○제재 : 사시(四時)의 강호 생활(江湖生活)

○주제 :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임금의 은 혜에 감사함

○의의

우리 나라 최초의 연시조이다.

이황의 ‘도산십이곡’과 이이의 ‘고산구곡가’ 에 영향을 준 작품이다.

○기타 : ‘亦君恩(역군은)이샷다’은 상진(尙 震)의 ‘감군은(感君恩)’과 송순의 ‘면앙정가 (俛仰亭歌)’에도 나온다.

 

●작품의 감상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임금의 은혜를 생각하는 내용을, 춘(春), 하(夏), 추(秋), 동(冬) 4계절로 나누어 각 한 수씩 노래한 연시조로, 우리나라 연시조의 효시가 되는 작품이다.

자연을 즐기며 살아가는 풍류 속에서도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유학자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줄기를 이루고 있는 내용이며, 이 ‘강호사시가’는 그 전형적인 작품의 하나이다.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홍반장 2015.04.28 1279
35 이상의 거울 홍반장 2015.04.28 637
34 박목월의 가정 홍반장 2015.04.28 953
33 고려가요 중 가시리 홍반장 2015.04.28 915
32 광문자전 홍반장 2015.04.27 681
31 경기체가 중 한림별곡 홍반장 2015.04.27 3500
30 국어 문법 file 홍반장 2015.04.17 225
29 윤선도의 견회요 홍반장 2015.04.06 942
28 가전체 소설 홍반장 2015.04.03 908
27 기형도의 식목제 홍반장 2015.04.03 537
26 봉선화가 일부 해설 홍반장 2015.04.02 641
25 최서해와 신경향파 문학 홍반장 2015.04.02 527
24 기형도의 입속의 검은 잎 홍반장 2015.03.24 414
23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3.24 513
22 김광균의 성호 부근 홍반장 2015.03.23 1062
21 고은의 문의 마을에 가서 홍반장 2015.03.23 740
20 바리데기(디딤돌 문학) 홍반장 2015.03.21 1039
19 시에서 위로를 얻다(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홍반장 2015.03.20 427
18 김광규의 4월의 가로수 홍반장 2015.03.20 619
17 이강백의 파수꾼 홍반장 2015.03.19 99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