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3.23 20:57

김광균의 성호 부근

조회 수 10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호 부근(星湖附近)

- 김광균

 

(1)

양철로 만든 달이 하나 수면(水面) 위에 떨어지고

부서지는 얼음 소래가

날카로운 호적(呼笛)같이 옷소매에 스며든다.

 

해맑은 밤바람이 이마에 나리는

여울가 모래밭에 홀로 거닐면

노을에 빛나는 은모래같이

 

호수는 한 포기 화려한 꽃밭이 되고

여윈 추억(追憶)의 가지가지엔

조각난 빙설(氷雪)이 눈부신 빛을 발하다.

 

(2)

낡은 고향의 허리띠같이

강물은 기일게 얼어붙고

 

차창(車窓)에 서리는 황혼 저 머얼리

노을은

나어린 향수(鄕愁)처럼 희미한 날개를 펴고 있었다.

 

 

감상의 초점

시각적 영상으로 달빛이 호젓하게 비친 차가운 겨울 호수의 풍경을 스케치하듯 그렸다. 이에 따라 시적 화자의 감정도 기복을 보인다. 회화적 이미지 구사로 잘 알려진 시인 특유의 비유 형상 능력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달을 양철, 겨울 호수를 은모래화려한 꽃밭으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자. 화자의 감정의 기복을 행간(行間)에 따라 유추함으로써 성호 부근의 겨울 호수의 풍경이 더 선명하게 떠오르게 된다.

성격 : 회화적

심상 : 시각적 심상

시상 전개 : 공간의 이동

구성 : 1. 달빛이 비친 겨울 호수의 모습

차가운 겨울 호수의 모습(1) : (=양철)

호숫가를 쓸쓸히 거님(2) : (겨울 호수=은모래)

추억(환상) 속에 떠오르는 영상(3) : (겨울 호수=화려한 꽃밭)

2. 황혼 무렵의 차창 밖 풍경

떠오르는 고향의 모습(4)

황혼녁의 차창을 통해 본 풍경(5)

제재 : 호수

주제 : 달빛이 비친 겨울 호수의 모습

겨울의 서정

 

이 시는 화화적 이미지 구사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1은 달빛 내려 비친 겨울 호수의 모습을, 2는 황혼 무렵의 차창 밖 풍경을 그리고 있다. 1의 세 연은 차가운 겨울 호수의 모습호숫가를 거니는 시적 화자의 모습’, 그리고 그의 환상 속에 떠오르는 추억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양철로 만든 달부서지는 얼음으로 대표되는 날카롭고 음산한 금속성의 이미지로 겨울 호수를 형상화한 첫째 연에 이어 둘째 연에서는 그것을 바라보며 걷는 화자의 고독한 모습을 제시하고 있으며, 셋째 연에서는 화려한 꽃밭눈부신 꽃의 따스하고 밝은 이미지로 호수를 변형시켜 나타내고 있다.

차갑고 날카로운 겨울 호수의 모습을 바라보며 쓸쓸해하던 화자는 호수에 얽힌 어린 시절의 즐거웠던 추억에 빠져들면서 차츰 어두운 분위기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에 따라 달빛 비치는 겨울 호수의 차가운 이미지는 이내 화려하고 따스한 이미지로 변형되지만, 그런 마음도 잠시뿐이다. 그러므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어린 시절에 대한 그리움은 2에서 차창에 서리는 황혼의 붉은 노을이 되어 희미한 날개를 펴고화자를 더욱 슬프게 하고 있다.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홍반장 2015.04.28 1279
35 이상의 거울 홍반장 2015.04.28 637
34 박목월의 가정 홍반장 2015.04.28 953
33 고려가요 중 가시리 홍반장 2015.04.28 915
32 광문자전 홍반장 2015.04.27 681
31 경기체가 중 한림별곡 홍반장 2015.04.27 3500
30 국어 문법 file 홍반장 2015.04.17 225
29 윤선도의 견회요 홍반장 2015.04.06 942
28 가전체 소설 홍반장 2015.04.03 908
27 기형도의 식목제 홍반장 2015.04.03 537
26 봉선화가 일부 해설 홍반장 2015.04.02 641
25 최서해와 신경향파 문학 홍반장 2015.04.02 527
24 기형도의 입속의 검은 잎 홍반장 2015.03.24 414
23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3.24 513
» 김광균의 성호 부근 홍반장 2015.03.23 1062
21 고은의 문의 마을에 가서 홍반장 2015.03.23 740
20 바리데기(디딤돌 문학) 홍반장 2015.03.21 1039
19 시에서 위로를 얻다(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홍반장 2015.03.20 427
18 김광규의 4월의 가로수 홍반장 2015.03.20 619
17 이강백의 파수꾼 홍반장 2015.03.19 99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