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서해의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의 특징
① 빈궁의 문학 ② 저항적 태도 ③ 개인과 사회의 관계 인식
1920년대 초 백조파의 감상적 낭만주의, 창조파의 자연주의 등 이전의 문학경향을 부정 혹은 발전시킨 결과인 사회주의 경향의 새로운 문학, '경향(tendency, tendenz)'이란 말은 '무엇인가를 가지려 하다'라는 뜻을 지닌 것이다. 심리학에서는 경향을 '습관적으로 또는 감각적으로 일정한 대상에 대해 병적 애정의 증상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경향의 형태는 특히 윤리적, 정치적, 사상적, 미적인 측면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속성을 지닌다.
경향은 광의로는 일정한 '신념, 주의, 이상, 사조 등을 지향하는 것'이 되며, 협의로는 '사회주의사상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뜻한다. 1920년대 한국문단에서 유행어가 되었던 '신경향파문학'이란 용어는 광의로 쓰인 것이며, 이에 비해 '경향문학'이라는 용어는 협의로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920년대 전반기의 한국문단에 '경향'이란 용어를 처음 소개하였던 박영희(朴英熙)는 '경향문학'보다 '신경향파문학'이란 용어를 자주 썼다. 이 점에 있어서는 백철(白鐵)도 마찬가지다. 박영희는 신경향파문학이란 말을 사회주의 색채를 띤 문학이라는 뜻과 신흥문학, 신사조(新思潮)의 문학이라는 뜻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박영희가 '경향'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를 내린 것은 이 말이 유행된 지 몇 년 뒤에 발표한 글 <신경향파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개벽 64호,1925.12)에서였다. 그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는 별다른 구별 없이 혼용되었다.
192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경향문학 또는 신경향파문학이라는 용어는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였다. 그 대신 프로문학, 카프문학, 무산자문학, 계급문학, 마르크시즘문학, 사회주의문학, 노동문학, 이데올로기문학 등의 용어가 새로 등장하여 무분별하게 혼용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1922년 이후 '프로문예'라는 말이 사용되고, '경향문학'이나 '신경향파문학'이라는 말은 실제로 거의 쓰이지 않았다.
작품과 시대와 사회적 배경 관계
최서해는 일본의 식민지 수탈이 극대화 해 가는 시기의 작가이다. 그가 다룬 이야기는 대부분 가난 이였으며 그의 세계는 하층민 소작민 유랑민 노동자의 것이었다. 그의 짧고도 비극적인 생애는 작품 속에 반영되기도 하여 체험문학 체험 작가로도 불린다. 이는 작품 속에 시대와 사회가 반영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그가 말한 당대 식민지 사회의 현실은 토지조사 결과 농민의 빈궁화 증가, 문화정치를 모방한 총독시대, 민족자본의 붕괴, 식민지적 재편성, 항일운동 등이 있다. 이는 그의 작품에서 직접 체험한 현장이면서 비극의 시대의식을 보인다.
탈출기는 자전적 소설이며 체험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가난에 시달리다 못해 고국을 등지고 간도 땅으로 살길을 찾아 나섰던 빈농이 차디찬 현실에 의해 꿈이 좌절당하는 과정과 1920년대를 전후한 수난사의 한 단면을 그려낸 것이다. 1920년대 자연발생기 프로문학의 대표적 작품이고 처절한 빈궁생활을 사실적으로 전달했다. 시대적 상황은 조선말부터 시작된 간도 유민의 역사, 일본의 일방적 협약으로 간도를 중국에게 넘겨줌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1920년 조선 유민의 수가 늘어나자 조선인의 보호를 주장하며 간도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간섭하였다. 일본은 중국과 조선인을 이간질시키려는 노력에 1930년 만보산 사건이 일어났다. 이를 핑계로 일본은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게 되었다. 역사의 부분 또한 작품의 시대를 말하고 있다.
작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주인공 박군은 가난 때문에 간도로 향하나 노력 속에서도 번번이 실패로 돌아가는 현실에 절망을 느낀다. 가난이 개인의 문제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힘의 소유자인 침략자에게서 원인이 있음을 깨닫는다. 마침내 사회적 항거의 길을 나서고 조직적인 대응력을 가지고 극복하려는 노력한다. 이는 상당히 치밀하고 투철한 현실 의식과 역사의식으로 대처한 진보한 태도로 보고 있다. 궁핍화 시대의 식민지 현실을 수용하려 하나 그가 묘사한 현실은 선택되어지지 않은 모습이다. 부정적인 사회 모습과 리얼리즘을 보이기 때문이다. 인물들의 사건도 상호 유기적 관련이 없다. 극단적인 저항행위는 전 민족의 모습을 표출하고 있진 않기 때문이다.
최서해의 작품은 신경향파 문학으로 불려진다. 당시의 빈궁한 한국의 지식인, 노동자, 농민의 비참한 생활을 다룬 것들을 신경향파 문학이라 불렀다. 1920년대의 사회주의 경향의 새로운 문학을 말한다. 사회주의 색채를 띤 문학이라는 뜻과 신흥문학, 신사조의 문학의 뜻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빈궁과 고뇌의 생활상을 자연주의적 수법으로 그려내며 투쟁의식과 반항의식을 심어주려는 목적을 지녔다. 이는 노동자, 농민의 해방을 주제로 한 것 뿐 아니라 한국적 현실에서 민족 해방을 위한 투쟁의식이 표현된 작품이다. 작품은 시대, 사회적 배경관계를 보여주며 가난한 삶의 고발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저항의 주제를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출처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