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껍데기는 가라.

4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시집 52인 시집, 신구문화사, 1967)

 

* 초례청 : 혼인 예식을 치르는 곳.

 

●작품의 해제

○주제 : 순수하고 원초적인 겨레의 건강성

○제재 : 겨레의 주체적 모습

○성격 : 문명 비판적, 주지적, 상징적, 이념 적

○표현법

① 반복법, 상징법, 은유법

② 명령형 종결.

○시어의 상징 의미

①껍데기 : 허위, 비리, 불의, 외세, 문명 부 정적 요소.(=쇠붙이로 구체화)

②쇠붙이 : 과학 문명을 타고 들어온 외세

 

●작품의 감상

 

이 시는 우리 역사 속에서 일어났던 여러 의미 있는 사건들을 바라보던 화자가 허위적인 것이나 겉치레는 사라지고, 순수한 마음과 순결함만이 그것에 남아 있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동일한 시어를 반복 구사함으로써 주제를 강조하고 있는 한편, 행간(行間) 걸림의 수법이나 쉼표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시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시인이 작품에서 보여 주려고 하는 것은 세월의 흐름에 따라 4월 혁명의 민주화 열망이 퇴색해 가고, 동학 혁명의 민중적 열망도 소진되어 가고 있는 현실적 여건에 대한 안타까움이다. 아울러 부끄러움도 아름다울 수 있었던 원시인 같은 순수한 마음의 회복과 그 같은 삶을 추구하는 순수성을 억압하고 탄압하는 현실에 대한 거부이다.

그런 화자에게 ‘껍데기’는 사라지기를 소망하는 대상일 뿐이지만, 17행 중 6행에서 ‘껍데기는 가라’고 소리칠 정도로 껍데기는 현실 속에 크게 자리잡고 있다. 이렇게 4월이나 동학의 본래 이념과는 다르게 변모해 있는 현실 상황에 대해 화자는 강력한 거부의 몸짓을 ‘껍데기는 가라’라는 직설적인 표현으로 보여주고 있다.

 

♣연구문제

1. 말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어떤 목소리인가?

▶말하는 사람은 분명히 나와 있지 않지만, 목소리는 신념과 의지에 차 있다.

 

2. 말하는 핵심은?

▶껍데기는 가라’

 

3. 껍데기와 함께 버리고 싶은 것은?

▶쇠붙이

 

4. 남기고 싶어하는 것들을 각 연에서 찾아 보자.

▶(1연) 4월의 알멩이

(2연)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

(3연) 향그러운 흙가슴

 

5. 그렇다면 ‘4월의 알멩이’, ‘동학년 곰나루의 아우성’, ‘향그러운 흙가슴’과 대립되는 의미로 쓰인 ‘껍데기’와 ‘쇠붙이’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불의에 항거하는 순수 정신 밖에 있는 것

▶순박하고 진실된 마음을 가지지 못하는 것

▶순수함, 진실함 들을 짓누르는 차갑고 무거운 어떤 힘

 

6. 화자가 원하는 것만 살아남고, 껍데기가 간 후의 모습은?

▶두 가슴과 그 곳까지 / 아사달과 아사녀가 /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 부끄럼 빛내며 / 맞절 할지니

 

7. 그렇지 즉, 아사달과 아사녀가 아무 거짓도, 허물도 없이 중립의 초례청에서 하나가 되는 것이겠지? 우리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이야기가 암시하는 것은?

▶남북이 하나가 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