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16 21:47

문법 문항 풀이

조회 수 3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법 규칙을 다 알고 있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것을 전공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학교 문법의 규칙을 다 외울 수는 없는 일이다.

 

그래서 문법은 국어에서 수학과도 같다.

일정한 규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느냐를 묻는다.

 

다른 어느 문항보다도 답이 정확하다. 그런데 문법 문제에서 한두 개를 틀리게 된다면?

 

문법 문제는 늘 문법 규칙이나 실제 사례를 제시한다.

그리고 문법 규칙을 적용하거나 이해하는지를 묻는다. 아니면 거꾸로 사례들을 주고 문법규칙을 끌어내게 만든다.

기출문제를 풀어보자.

 

<보기>의 표준 발음법 규정을 참고할 때, 밑줄 친 단어의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

 

보기

제5항‘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이번 ① 강의의[강의의] 신청자 명단입니다. 

• 네 친구 희수, ② 걔도[개도] 오니?  

• 이 ③ 시계[시게] 내가 ④ 가져도[가저도] 돼? 

• 어떠한 경우에도 ⑤ 희망[히망]을 버려서는 안 된다.

 

표준 발음법 제5항은 이중 모음을 이중 모음 그대로 발음하는 원칙을 제시하는 조항이다. 다만,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 예, 례’ 이외의 ‘ㅖ’,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나 조사 ‘의’에 대해서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예외를 두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② ‘걔도’의 발음은 [걔도]가 맞다.

 

문제가 너무 쉽다 ㅠㅠ

 

이런 형식의 문제라는 것이다. 문법 문제는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감각을 익히고 자신이 부족한 부분이 음운 분야인지 형태 분야인지 의미 분야인지 화용론 분야인지 등을 살피고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한다.

정말 이상한 말이지만, 문법 정리된 파일을 하나 출력해서 가끔씩 그 부분들을 살피는 것이 좋다.

 

우리는 공부하는 대부분을 잊어버린다. 잊지 않기 위한 방법은 뭐가 있을까. 자신이 듣고 본 것들은 잘 잊지만,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 힘들었던 것, 재밌게 경험한 것들은 잊지 않는다. 공부를 쉽게 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홍반장 2015.05.13 712
35 김춘수의 꽃 홍반장 2015.05.21 644
34 신석정의 꽃덤불 홍반장 2015.05.21 696
33 이용악의 낡은 집 홍반장 2015.05.21 581
32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홍반장 2015.06.01 417
31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홍반장 2015.06.16 266
30 신경림의 농무 홍반장 2015.06.16 420
29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6.16 362
» 문법 문항 풀이 홍반장 2015.06.16 336
27 김현승의 눈물 홍반장 2015.08.20 678
26 김영랑의 독을 차고 홍반장 2015.08.20 1318
25 신석정 - 들길에 서서 홍반장 2015.11.09 1107
24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홍반장 2015.11.24 1391
23 학교생활기록부 secret 홍반장 2016.02.15 0
22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홍반장 2016.03.24 254
21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홍반장 2016.05.23 247
20 르네 지라르와 아도르노 홍반장 2016.07.13 274
19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실체 어떤글 2016.07.18 238
18 2018 수능특강 규중칠우쟁론기 어떤글 2018.03.09 423
17 2018 수능특강 양주별산대놀이 어떤글 2018.03.17 6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