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16 21:27

신경림의 농무

조회 수 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무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달린 가설 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빈 운동장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꽹가리를 앞장세워 장거리로 나서면 

따라붙어 악을 쓰는 건 쪼무래기들뿐

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 

 

중략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이게나 맡겨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꺼나.

고개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꺼나.

        (창작과 비평 가을호, 1971)

 

 

●작품의 해제

 

○성격 : 사실적, 묘사적

○제재 : 농무(農舞)

○주제 : 농민들의 한과 고뇌

 

●작품의 감상

 

 농무(農舞)가 농민들의 춤이라면 그 춤에는 가락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 시에서 춤과 가락은 ‘비료 값도 안 나오는 농사’를 짓는 농민의 발버둥치는 모습으로, 원통하고 답답한 심정의 발로(發露)이다.

  막이 올랐다로 시작되지 않고 ‘막이 내렸다’로 시작되는 것은 이 시가 두렛일의 흥겨움보다도 농민의 자조적인 한탄과 원한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예고임을 눈치채게 되리라.

  서사적인 골격이 분명하지 않지만, 이 작품의 전개는 일정한 이야기의 틀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윤영천 교수의 지적에 따르면, 그의 시의 이야기적 성격은 10여 년의 침묵 끝에 이루어낸 ‘역사와 사회에 대한 시인 의식의 성장과 긴밀한 연관을 지니는 것’이다. 70년대의 급격한 산업화 과정 속에서 분해되어 가는 농촌의 모습을 떠올려 주는 이 시에서 농민이 느끼는 감정이 어떤 것인지 여러 구절에서 감지된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든지, ‘산 구석에 처박혀 발버둥친들 무엇하랴’ 같은 구절이 그것이다. 이러한 감정 토로는 매우 직설적이어서 차라리 산문적인 느낌을 준다.

  흥미로운 것은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는 표현이다. 자조(自嘲)와 한탄이 ‘신명’으로 전환되는데, 여기에는 분노의 감정이 살의가 느껴질 정도로 섬뜩하게 내면화되어 있는 것이다. 농민의 비애가 그만큼 심화되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내 준다고 하겠다.

 

1. 이 시에서 현실에 대한 분노가 역설적으로 드러난, 연속된 두 시행을 찾아 쓰라.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2. 이 시가 ‘막이 올랐다’로 시작되지 않고 ‘막이 내렸다’로 시작되는 것은 시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60자 내외로 쓰라.

 ▶농무가 두렛일의 흥겨움보다는 농민의 자조적인 한탄과 원한의 몸짓임을 나타내기 위한 예고의 의미를 지닌다.

 

3. 이 시의 내용을 볼 때, 농민들은 농무를 추면서 무엇을 발산한다고 볼 수 있겠는가? 한 문장으로  쓰라.

 ▶농민들은 농무를 추면서 말로 표현하지 못했던 세상에 대한 비판과 저항 등을 발산한다고 볼 수 있다.

 

4. 농악패를 이루고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이 시에 나오는 한 시구를 이용하여 답하라.

 ▶피폐해진 농촌에서 ‘비료 값도 안 나오는 농사’를 지으며 살아 보려고 발버둥질치던 농민.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홍반장 2015.05.13 712
35 김춘수의 꽃 홍반장 2015.05.21 644
34 신석정의 꽃덤불 홍반장 2015.05.21 696
33 이용악의 낡은 집 홍반장 2015.05.21 581
32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홍반장 2015.06.01 417
31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홍반장 2015.06.16 266
» 신경림의 농무 홍반장 2015.06.16 420
29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6.16 362
28 문법 문항 풀이 홍반장 2015.06.16 336
27 김현승의 눈물 홍반장 2015.08.20 678
26 김영랑의 독을 차고 홍반장 2015.08.20 1318
25 신석정 - 들길에 서서 홍반장 2015.11.09 1107
24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홍반장 2015.11.24 1391
23 학교생활기록부 secret 홍반장 2016.02.15 0
22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홍반장 2016.03.24 254
21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홍반장 2016.05.23 247
20 르네 지라르와 아도르노 홍반장 2016.07.13 274
19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실체 어떤글 2016.07.18 238
18 2018 수능특강 규중칠우쟁론기 어떤글 2018.03.09 423
17 2018 수능특강 양주별산대놀이 어떤글 2018.03.17 6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