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28 20:14

이상의 거울

조회 수 6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것이오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오

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나있오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

내악수(握手)를받을줄모르는 악수를모르는왼손잽이오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마는

거울아니었든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햇겠오

나는지금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거울속의내가있오

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事業)에골몰할께요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反對)요마는

또꽤닮았오.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診察)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가톨릭 청년 5호, 1933.10)

 

* 외로된 : 한 쪽으로 치우친. 어떤 일에 골몰한.

 

●작품의 해제

○갈래 : 초현실주의시, 자유시, 관념시, 상징시

○성격 : 자의식적, 주지적, 심리적, 관념적

○어조 : 냉소적, 자조적 어조

○기법

① 자동 기술법

② 기존형식의 부정(띄어쓰기 무시)

○표현 : 역설적 표현

○제재 : 거울에 비친 ‘나’

○주제 : 현대인의 자의식 분열에 대한 고뇌

 

●작품의 감상

여기서 거울은 자기 성찰의 한 방편이다. 그 거울을 통하여 시인은 일상에 매몰된 채 망각한 ‘나’ 본연의 모습을 본다. ‘거울아니었든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햇겠오’는 자기 성찰의 기회가 없이 자아의 탐구가 불가능하다는 말일 터이다. ‘거울 속의 나’가 객관화된 ‘나’라면, 자아를 발견하려는 주관적인 의지에 관계없이 객관적인 ‘나’는 존재한다. 그것이 이 시에는 ‘나는지금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거울속의내가있오’라고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일상적인 ‘나’와 객관화된 ‘나’ 사이의 거리감이다. ‘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가 뜻하는 바는 자기 소외의 감정이다. ‘나’는 ‘거울 속의 나’, 즉 자기 자신의 본연의 모습에 대해 서먹서먹해 하고 곤혹을 느낀다.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나’는 ‘거울 속의 나’에게 말을 걸고 악수를 청하지만 끝내 결렬된다. 이미 일상의 ‘나’와 본연의 ‘나’가 화해에 이를 수 없을 만큼 분열되어 있는 것이다. 일상의 허위에 길든 ‘나’의 눈으로는 ‘거울 속의 나’가 하는 것이 진실된 것으로 보이기는커녕, 오히려 비정상적이고 ‘외로된 사업’처럼 보인다.

그래서 ‘나’는 ‘거울 속의 나’를 ‘근심하고 진찰’하려 든다. 그런데 사실 진찰받아야 할 사람은 ‘거울 속의 나’가 아니라 일상의 ‘나’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일상의 거짓에 매몰된 자신의 허위를 고발하는 하나의 역설(逆說)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국어 공부

잔소리

  1.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Date2015.04.28 By홍반장 Views1279
    Read More
  2. 이상의 거울

    Date2015.04.28 By홍반장 Views637
    Read More
  3. 박목월의 가정

    Date2015.04.28 By홍반장 Views953
    Read More
  4. 고려가요 중 가시리

    Date2015.04.28 By홍반장 Views915
    Read More
  5. 광문자전

    Date2015.04.27 By홍반장 Views681
    Read More
  6. 경기체가 중 한림별곡

    Date2015.04.27 By홍반장 Views3500
    Read More
  7. 국어 문법

    Date2015.04.17 By홍반장 Views225
    Read More
  8. 윤선도의 견회요

    Date2015.04.06 By홍반장 Views942
    Read More
  9. 가전체 소설

    Date2015.04.03 By홍반장 Views909
    Read More
  10. 기형도의 식목제

    Date2015.04.03 By홍반장 Views537
    Read More
  11. 봉선화가 일부 해설

    Date2015.04.02 By홍반장 Views641
    Read More
  12. 최서해와 신경향파 문학

    Date2015.04.02 By홍반장 Views527
    Read More
  13. 기형도의 입속의 검은 잎

    Date2015.03.24 By홍반장 Views414
    Read More
  14. 고은의 눈길

    Date2015.03.24 By홍반장 Views513
    Read More
  15. 김광균의 성호 부근

    Date2015.03.23 By홍반장 Views1062
    Read More
  16. 고은의 문의 마을에 가서

    Date2015.03.23 By홍반장 Views743
    Read More
  17. 바리데기(디딤돌 문학)

    Date2015.03.21 By홍반장 Views1045
    Read More
  18. 시에서 위로를 얻다(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Date2015.03.20 By홍반장 Views427
    Read More
  19. 김광규의 4월의 가로수

    Date2015.03.20 By홍반장 Views619
    Read More
  20. 이강백의 파수꾼

    Date2015.03.19 By홍반장 Views9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