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프랑스 철학자 파스칼의 팡세에 나오는 말.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

  이 시를 읽을 때 팡세의 말이 생각난다. 그런데 시인은 차라리 밑둥 잘리고 고통에게로 가자. 누군가를 나를 고통스럽게 하기 전에 그 고통에게로 가자고 한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이 또한 지나가리라, 라는 흔한 말과는 조금 다르다.

  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고 한다.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고 그 아래서는 살맞대고 가자고 한다.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그럼에도 차라리 그게 낫다는 생각이 든다. 시에 대한 해석이 아니라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세상은 개울도 있고 등불도 켜지듯 그렇게 있다. 가자라는 처연하다. 와라 고통이여로 읽힌다. 와라 고통아. 어디라도 해가 지더라도 가자. 그리고 향한 곳은 뿌리 깊은 벌판이다. 이곳에 서면 밑둥 잘려도 새순이 돋는다. 영원한 슬픔은 없다. 캄캄한 밤, 같은 상황에 어느 누가 내 손을 잡을 줄 것이라는 믿음. 믿음은 사람을 살게 한다. 마주 잡을 손 하나 오고...

  고정희의 이 시는 시대배경으로 볼 때 광주 5.18, 독재시절, 현대사회의 고통받는 사람들 등의 다양한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상한 영혼을 위하여

                             - 고정희

 

상한 갈대라도 하늘 아래선
한 계절 넉넉히 흔들리거니
뿌리 깊으면야
밑둥 잘리어도 새순은 돋거니
충분히 흔들리자 상한 영혼이여
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

뿌리 없이 흔들리는 부평초 잎이라도
물 고이면 꽃은 피거니
이 세상 어디서나 개울은 흐르고
이 세상 어디서나 등불은 켜지듯
가자 고통이여 살 맞대고 가자
외롭기로 작정하면 어딘들 못 가랴
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

고통과 설움의 땅 훨훨 지나서
뿌리 깊은 벌판에 서자
두 팔로 막아도 바람은 불 듯
영원한 눈물이란 없느니라
영원한 비탄이란 없느니라
캄캄한 이라도 하늘 아래선
마주 잡을 손 하나 오고 있거니


국어 공부

잔소리

  1. No Image 28Apr
    by 홍반장
    2015/04/28 by 홍반장
    Views 1279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2. No Image 28Apr
    by 홍반장
    2015/04/28 by 홍반장
    Views 637 

    이상의 거울

  3. No Image 28Apr
    by 홍반장
    2015/04/28 by 홍반장
    Views 953 

    박목월의 가정

  4. No Image 28Apr
    by 홍반장
    2015/04/28 by 홍반장
    Views 915 

    고려가요 중 가시리

  5. No Image 27Apr
    by 홍반장
    2015/04/27 by 홍반장
    Views 681 

    광문자전

  6. No Image 27Apr
    by 홍반장
    2015/04/27 by 홍반장
    Views 3500 

    경기체가 중 한림별곡

  7. No Image 17Apr
    by 홍반장
    2015/04/17 by 홍반장
    Views 225 

    국어 문법

  8. No Image 06Apr
    by 홍반장
    2015/04/06 by 홍반장
    Views 942 

    윤선도의 견회요

  9. No Image 03Apr
    by 홍반장
    2015/04/03 by 홍반장
    Views 909 

    가전체 소설

  10. No Image 03Apr
    by 홍반장
    2015/04/03 by 홍반장
    Views 537 

    기형도의 식목제

  11. No Image 02Apr
    by 홍반장
    2015/04/02 by 홍반장
    Views 641 

    봉선화가 일부 해설

  12. No Image 02Apr
    by 홍반장
    2015/04/02 by 홍반장
    Views 527 

    최서해와 신경향파 문학

  13. No Image 24Mar
    by 홍반장
    2015/03/24 by 홍반장
    Views 414 

    기형도의 입속의 검은 잎

  14. No Image 24Mar
    by 홍반장
    2015/03/24 by 홍반장
    Views 513 

    고은의 눈길

  15. No Image 23Mar
    by 홍반장
    2015/03/23 by 홍반장
    Views 1062 

    김광균의 성호 부근

  16. No Image 23Mar
    by 홍반장
    2015/03/23 by 홍반장
    Views 743 

    고은의 문의 마을에 가서

  17. No Image 21Mar
    by 홍반장
    2015/03/21 by 홍반장
    Views 1045 

    바리데기(디딤돌 문학)

  18. No Image 20Mar
    by 홍반장
    2015/03/20 by 홍반장
    Views 427 

    시에서 위로를 얻다(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19. No Image 20Mar
    by 홍반장
    2015/03/20 by 홍반장
    Views 619 

    김광규의 4월의 가로수

  20. No Image 19Mar
    by 홍반장
    2015/03/19 by 홍반장
    Views 998 

    이강백의 파수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