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3.17 13:58

시 작품 분석 순서

조회 수 2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낯선 시를 만나는 것은 어두운 밤길에서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만큼이나 당혹스럽습니다.

나에게 좋은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아무 일 없다면 다행이지요?

왜 그 사람을 그렇게 판단해야 할까요?

두려우니까요.


낯선 시를 만날 때, 두려워하면 안 됩니다. 의연하게(말처럼 쉽지 않지만) 대면해야 합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나오는 시들은 우리에게 무척이나 교훈적입니다.

자연의 아름다움, 자아성찰, 사랑과 이별, 아름다운 표현, 의지와 저항, 시대 비판, 인간의 연대의식(공동체의식) 등을 주제로 합니다.

그런데 긍정적인 내용의 시 이외에는 대부분 "없음(결핍)"에서 시가 출발합니다.

작가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상황, 시대정신을 작품에 반영하게 마련입니다.

다음의 어설픈 그림을 보시죠. ㅠㅠ

IMG_0388.PNG


신데렐라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요.

만약 부모님이 계셨다면? 이야기가 어떻게 흐를까요?

바로 없음의 상황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서 그 없음의 상황을 화자가 어떤 태도(-적이 붙습니다. 적극적, 비판적...)로 어떤 정서(감정, 슬픔, 외로움 등)로 그 상황을 대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표현했을까요? 이 내용들을 다 알게 된다면 다른 친구에게 설명하듯이 말해 봅니다. 음, 이 시는 말야. 화자가 어떤 사람인데, 지금 어떤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어. 그 이유는 말야. 이 상황이 이래이래서지. 그리고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표현법은 이런이런 표현법들이 있어. 그래서 이 시는 어떤 거 같아.

이런 식으로 말할 수 있으면 이 시를 거의 다 감상한 것입니다.


어떤 가수의 최신곡이 갑작스레 좋아질 수도 있지만, 듣다 보면 좋은 노래들이 많습니다.

시가 그렇습니다.

저도 서정주의 시를 대한 지 10년이 넘어서야 서정주가 시를 잘 쓴다는 것을 알았으니까요.

이 시는 뭐가 없지? 혹은 뭐가 있지? 그래서 화자가 슬픈가? 기쁜가? 그래서 좌절했나? 극복했나? 즐겼나? 어떤 상황이지?

시는 압축적이고 상징적입니다. 일종의 암호나 기호같은 것이지요.

어때요? 어그로 끌지요? 라는 말과 비슷합니다. ㅎㅎ;;


국어 공부

잔소리

  1. No Image 18Mar
    by 홍반장
    2015/03/18 by 홍반장
    Views 215 

    국어가 왜 어려울까 2

  2. 시 작품 분석 순서

  3. 시문학 작품의 선택지 보는 법

  4. No Image 10Mar
    by 홍반장
    2015/03/10 by 홍반장
    Views 1771 

    송수권의 까치밥

  5. No Image 10Mar
    by 홍반장
    2015/03/10 by 홍반장
    Views 1240 

    정지용의 춘설

  6. No Image 10Mar
    by 홍반장
    2015/03/10 by 홍반장
    Views 558 

    박목월의 산이 날 에워싸고

  7. No Image 10Mar
    by 홍반장
    2015/03/10 by 홍반장
    Views 534 

    김소월의 산유화

  8. No Image 09Mar
    by 홍반장
    2015/03/09 by 홍반장
    Views 1151 

    오장환의 고향 앞에서

  9. No Image 05Mar
    by 홍반장
    2015/03/05 by 홍반장
    Views 308 

    낯선 시 작품을 대하는 방법

  10. No Image 03Mar
    by 홍반장
    2015/03/03 by 홍반장
    Views 216 

    국어가 왜 어려울까 1

  11. No Image 28Feb
    by 홍반장
    2015/02/28 by 홍반장
    Views 1097 

    현대시:기형도 - 입 속의 검은 잎

  12. No Image 15Feb
    by 홍반장
    2015/02/15 by 홍반장
    Views 184 

    논술에 대한 고민

  13. No Image 10Feb
    by 홍반장
    2015/02/10 by 홍반장
    Views 370 

    비문학을 공부하는 법 3

  14. No Image 28Jan
    by 홍반장
    2015/01/28 by 홍반장
    Views 489 

    비문학을 공부하는 법 2

  15. No Image 26Jan
    by 홍반장
    2015/01/26 by 홍반장
    Views 400 

    비문학을 공부하는 법 1

  16. No Image 12Jan
    by 홍반장
    2015/01/12 by 홍반장
    Views 454 

    어떻게 하면 국어공부를 잘 할까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