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에 가면 연등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진흙에서 핀다는 봉은사 연등은 붉은색으로 소원성취를 담고 이름이 새겨지고
바람이 불면 흔들리는 채로
그 아래를 지나는 속세의 시간들에 떠서 자신의 소원을 잊고 있다.
아이폰6플러스, 초점, 조리개, ISO 아이폰6플러스가 알아서 찍음.
봉은사 [奉恩寺] : 794년(원성왕 10) 신라시대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창건하여 견성사(見性寺)라고 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 1498년(연산군 4)에 정현왕후(貞顯王后)가 선릉(宣陵:成宗陵)을 위하여 사찰을 중창하였다. 1562년(명종 17) 문정왕후가 주도하여 견성사 터가 명당이라 하여 수도산 아래로 옮겼고 사찰의 명칭을 봉은사(奉恩寺)로 개칭하였다. 중종 때는 이곳에서 승과시(僧科試)를 치르던 곳이며 서산(西山) ·사명(泗溟) 두 대사도 여기서 등과하였다고 전해진다. 임진왜란 때 화를 입었으나 다시 복원되었으나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다시 불탄 것을 숙종 때 중건하고 1825년(순조 25)에 다시 중수하였다. 하지만 1950년 한국전쟁으로 다시 대부분의 전각들이 파괴되었으며 이후에 재건하였다. 병자호란 당시 피난을 가던 많은 사람들이 한강에 빠져 익사하였는데 그들의 혼을 위로하는 수륙제(水陸齊)가 봉은사에서 열렸으며 현재도 매년 윤달에 수륙제가 열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봉은사 [奉恩寺]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