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항을 살펴보자.

내용의 어휘를 바꾸거나 두 개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서로 바꾸고, 넓어지고 길어지고 증가하고 감소하고 이런 말들을 바꾸어 선택지를 만든다.

처음 보는 글을 보면서 정리를 한다.

정리되지 않은 꽉 찬 필통을 정리해보자.

나오지 않는 볼펜은 버리고 형광펜이 몇 개고 빨간색 파란색은 몇 자루, 샤프는 몇개, 그리고 들어있는 문구들을 확인해 본다. 

비문학 지문을 읽는 과정은 이렇게 간단하게 내용을 파악하면서(절대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정리하는 것이다.

정리가 되면 이해가 된다. 이해가 된다 하더라도 정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문항의 선택지를 보면서

제시문에 내용과 비교해서 선택지의 내용이,

 

1. 있다, 없다

2. 같다, 다르다

3. 맞다, 틀리다 의 순서로 살펴야 한다.

 

맞는 내용이더라도 제시문에 없으면 안 된다. 그리고 내용들을 교묘하게 바꿔놓았는지 살피는 과정이 2의 같느냐, 다르냐를 살피는 것이다. 그리고 3의 과정이다.

이 문제 풀이의 과정을 지키지 않으면 답이 두 개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국어 문제는 답을 다섯 개를 준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타당하거나 맞거나 일치하거나 내용에 부합하는 것을 고르라는 것이다.

수학처럼 풀이과정에 따라 일직선으로 풀어가서 답을 하나 찾는 것이 아니다. 

그렇지만 60만명의 수험생이 모두 답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그 답이 상당한 타당성을 지녀야 한다.

스스로 애매하거나 모호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과감하게 판단해야 한다. 그런 것은 선택지로 낼 수 없다.

60만명의 수험생과 학교관계자, 학부모, 사교육 관련자 들이 모두 들고 일어서면 폭동이 될 수도 있다.

 

자, 제시문에 성급하게 덤비지 말고 한번에 읽어내기 위해 천천히 그리고 잘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자.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홍반장 2015.05.13 712
35 김춘수의 꽃 홍반장 2015.05.21 644
34 신석정의 꽃덤불 홍반장 2015.05.21 696
33 이용악의 낡은 집 홍반장 2015.05.21 581
32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홍반장 2015.06.01 417
»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홍반장 2015.06.16 266
30 신경림의 농무 홍반장 2015.06.16 420
29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6.16 362
28 문법 문항 풀이 홍반장 2015.06.16 336
27 김현승의 눈물 홍반장 2015.08.20 678
26 김영랑의 독을 차고 홍반장 2015.08.20 1318
25 신석정 - 들길에 서서 홍반장 2015.11.09 1107
24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홍반장 2015.11.24 1391
23 학교생활기록부 secret 홍반장 2016.02.15 0
22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홍반장 2016.03.24 254
21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홍반장 2016.05.23 247
20 르네 지라르와 아도르노 홍반장 2016.07.13 274
19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실체 어떤글 2016.07.18 238
18 2018 수능특강 규중칠우쟁론기 어떤글 2018.03.09 423
17 2018 수능특강 양주별산대놀이 어떤글 2018.03.17 6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