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21 23:03

이용악의 낡은 집

조회 수 5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 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랜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놓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아들은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 보냈다는

그 날 밤

저릎 등이 시름시름 타 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 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던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디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국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 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 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작품의 해제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이야기시

○율격 : 내재율

○어조 : 이야기를 하는 듯한 어조

성격 : 향토적, 서사적, 설화적

○심상 : 묘사적

○표현 : 유이민의 가족사적 내용을 단편 서사 시의 형식을 통해 표현함. 방언의 사용을 통 해 설화적 분위기를 살림

○특징 : 식민지 민중의 전형적 상황을 보여 줌

○구성

①1연: 어른들이 전해 주는 낡은 집에 대한 이야기

②2연: 자취를 감춘 털보네 낡은 집의 모습

③3-5연: 털보네 가족의 간고한 삶의 정황

④6연: 털보네 가족의 고향 떠남

⑤7연: 털보네 가족이 간 곳을 짚어 보는 이 웃들

⑥8연: 낡은 집의 황폐한 모습

○제재 : 일제 때 폐허가 된 낡은 집

○주제 : 일제하의 유랑민의 비애

○출전 : <낡은 집>(1938)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볼 때 화자의 체험을 진술한 부분과 어른들로부터 화자가 전해 들은 이야기를 직․간접 화법을 통해 진술한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어린 화자를 통해서만 한 가족이 경험한 이야기를 진술하도록 할 때 생길지 모르는 부자연스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이 시의 대상은 ‘낡은 집’으로 표상되는 한 가족의 가난한 삶이다. 그것이 내 친구인 ‘털보의 셋째아들’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화자의 귀에 들리고 눈앞에 펼쳐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시의 화자는 그렇게 해서 듣고 본 이야기를 자기 또래쯤의 청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작자는 이 화자-청자 사이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시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면서도 담담한 가운데 대상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화자를 어린이로 처리하여 화자의 판단이 시 속에 개입되는 것을 막고, 단지 전달의 기능만을 맡김으로써 독자의 상상력이 자유롭게 발휘되도록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어린 화자의 입을 통해 청자에게 전해지고 있는 내용은, 일제 강점기 조선 농촌의 피폐화 과정이다. 이 시는 문학 작품이 시대 상황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보여 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홍반장 2015.05.13 712
35 김춘수의 꽃 홍반장 2015.05.21 644
34 신석정의 꽃덤불 홍반장 2015.05.21 696
» 이용악의 낡은 집 홍반장 2015.05.21 581
32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홍반장 2015.06.01 417
31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홍반장 2015.06.16 266
30 신경림의 농무 홍반장 2015.06.16 420
29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6.16 362
28 문법 문항 풀이 홍반장 2015.06.16 336
27 김현승의 눈물 홍반장 2015.08.20 678
26 김영랑의 독을 차고 홍반장 2015.08.20 1318
25 신석정 - 들길에 서서 홍반장 2015.11.09 1107
24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홍반장 2015.11.24 1391
23 학교생활기록부 secret 홍반장 2016.02.15 0
22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홍반장 2016.03.24 254
21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홍반장 2016.05.23 247
20 르네 지라르와 아도르노 홍반장 2016.07.13 274
19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실체 어떤글 2016.07.18 238
18 2018 수능특강 규중칠우쟁론기 어떤글 2018.03.09 423
17 2018 수능특강 양주별산대놀이 어떤글 2018.03.17 6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