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21 23:02

신석정의 꽃덤불

조회 수 6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꽃덤불

 

 

‘태양(太陽)’을 의논(議論)하는 거룩한 이야기는

항상 태양(太陽)을 등진 곳에서만 비롯하였다.

 

달빛이 흡사 비오듯 쏟아지는 밤에도

우리는 헐어진 성(城)터를 헤매이면서

언제 참으로 그 언제 우리 하늘에

오롯한 태양(太陽)을 모시겠느냐고

가슴을 쥐어 뜯으며 이야기하며 이야기하며

가슴을 쥐어 뜯지 않았느냐?

 

그러는 동안에 영영 잃어버린 벗도 있다.

그러는 동안에 멀리 떠나버린 벗도 있다.

그러는 동안에 몸을 팔아버린 벗도 있다.

그러는 동안에 맘을 팔아버린 벗도 있다.

 

그러는 동안에 드디어 서른 여섯 해가 지내갔다.

 

다시 우러러 보는 이 하늘에

겨울밤 달이 아직도 차거니

오는 봄엔 분수(噴水)처럼 쏟아지는 태양(太陽)을 안고

그 어느 언덕 꽃덤불에 아늑히 안겨보리라.

 

●작품의 해제

 

○성격 : 상징적, 서술적, 독백적, 이지적

○어조 : 비판적, 관조적 어조

○특징 : 반복법의 사용으로 표현 효과 증대

○소제 : 꽃덤불

○주제 : 광복의 기쁨과 새로운 민족 국가 수립의 염원

 

●작품의 감상

 

꽃덤불에는 ‘태양을 의논하는 거룩한 이야기……’가 나온다. ‘밤’의 어두운 상황이 그로 하여금 ‘태양’을 그리워하게 한다면, 일제의 사슬에서 풀려난 후에는 태양을 이야기하는 것이 새삼스러울 터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리 단순치가 않다. 이 시의 후반부에는 ‘드디어 서른 해가 지나갔다.’는 시구 다음에 이런 구절을 놓고 있다.

“다시 우러러 보는 이 하늘에

겨울밤 달이 아직도 차거니“

이것은 우리 나라가 주체적인 역량에 의해서라기보다 연합군 세력에 의해 해방됨으로 해서 빚어지는 새로운 모순을 암시해 준다. 이렇게 볼 때, 그의 상황 인식은 매우 정확한 것이다. 8·15 해방은 글자 그대로 해방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된다. 식민주의는 새로운 식민주의의 발판을 마련해 놓고 물러간 것이다. 어찌 보면 식민지의 연장이기도 한 당시의 현실이 ‘겨울밤 달이 아직도 차거니’라고 표현되어 있다. 그러한 상황을 그가 염려하는 이유는 일제 치하에서처럼 영영 잃어버리는 벗이 생길까 해서이다.

이 시의 가장 충격적인 슬픔은, ‘그러는 동안에 영영 잃어버린 벗도 있다. / 그러는 동안에 멀리 떠나버린 벗도 있다. / 그러는 동안에 몸을 팔아버린 벗도 있다. / 그러는 동안에 맘을 팔아버린 벗도 있다.’는 데 있을 것이다. 이 시는 비슷한 상황이 계속되는 한 그러한 비극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염려가 ‘꽃덤불’에 안기리라는 희망을 앞지른다.

 


국어 공부

잔소리

  1. No Image 23May
    by 홍반장
    2016/05/23 by 홍반장
    Views 247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2. No Image 24Mar
    by 홍반장
    2016/03/24 by 홍반장
    Views 254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3. No Image 15Feb
    by 홍반장
    2016/02/15 by 홍반장
    Views 0 

    학교생활기록부

  4. No Image 24Nov
    by 홍반장
    2015/11/24 by 홍반장
    Views 1391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5. No Image 09Nov
    by 홍반장
    2015/11/09 by 홍반장
    Views 1107 

    신석정 - 들길에 서서

  6. No Image 20Aug
    by 홍반장
    2015/08/20 by 홍반장
    Views 1318 

    김영랑의 독을 차고

  7. No Image 20Aug
    by 홍반장
    2015/08/20 by 홍반장
    Views 678 

    김현승의 눈물

  8. No Image 16Jun
    by 홍반장
    2015/06/16 by 홍반장
    Views 336 

    문법 문항 풀이

  9. No Image 16Jun
    by 홍반장
    2015/06/16 by 홍반장
    Views 362 

    고은의 눈길

  10. No Image 16Jun
    by 홍반장
    2015/06/16 by 홍반장
    Views 420 

    신경림의 농무

  11. No Image 16Jun
    by 홍반장
    2015/06/16 by 홍반장
    Views 266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12. No Image 01Jun
    by 홍반장
    2015/06/01 by 홍반장
    Views 417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13. No Image 21May
    by 홍반장
    2015/05/21 by 홍반장
    Views 581 

    이용악의 낡은 집

  14. No Image 21May
    by 홍반장
    2015/05/21 by 홍반장
    Views 696 

    신석정의 꽃덤불

  15. No Image 21May
    by 홍반장
    2015/05/21 by 홍반장
    Views 644 

    김춘수의 꽃

  16. No Image 13May
    by 홍반장
    2015/05/13 by 홍반장
    Views 712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17. No Image 13May
    by 홍반장
    2015/05/13 by 홍반장
    Views 519 

    천상병의 귀천

  18. No Image 11May
    by 홍반장
    2015/05/11 by 홍반장
    Views 255 

    논술을 써보자

  19. No Image 29Apr
    by 홍반장
    2015/04/29 by 홍반장
    Views 816 

    정지용의 고향

  20. No Image 29Apr
    by 홍반장
    2015/04/29 by 홍반장
    Views 1291 

    백석의 고향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