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21 23:00

김춘수의 꽃

조회 수 6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의미가) 되고 싶다.

 

(현대문학 9호, 1955.9)

 

●작품의 해제

 

○성격 : 관념적, 주지적, 상징적, 인식론적

○어조 : 갈망적 어조

○특징 : 명명(命名) 행위에 의한 인식을 바 탕으로 함.

○표현 : 의미의 점층적 확대(단계적인 의미 의 심화 과정을 보임)

○제재 : 꽃

○주제 : 존재의 본질 구현에 대한 소망

 

●작품의 감상

 

존재 탐구의 시인 김춘수의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 이 시는 서정성이 일체 배제된 관념적이고 주지적인 작품이다.

처음엔 무의미의 관계였던 ‘나’와 ‘그(너)’가 ‘이름을 불러 주는’ 상호 인식의 과정을 통해, 서로는 서로에게 ‘꽃’이라는 아름답고 소중한 존재로 변모하게 되고, 마침내는 영원히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 있는 존재인 ‘꽃’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명명(命名)’ 행위는 사물의 본질을 포착하고, 그것을 실재적인 형상으로 표현해 내는 작업을 뜻하게 된다.

이것은 언어를 ‘존재의 집’으로 파악한 하이데거의 명제와 비슷한 시적 발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존재를 조명하고 그 정체를 밝히려는 이 시는 주체와 객체[대상]가 주종(主從) 관계가 아닌, 상호 주체적 ‘만남’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모든 존재는 익명(匿名)의 상태에서는 고독하고 불안하다. 그러므로 이름이 불려지지 않은 상태[존재를 인식하기 전]에서는 자신의 본질을 드러내고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아무에게서나 자신의 이름이 불려지기를 원하는 것이다.

명명(命名)이라는 과정이 있기 전까지는 참다운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부재(不在)의 존재였던 ‘꽃’이 이름을 불러 주는 나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비로소 존재의 양태를 지니게 되며, 반대로 내 존재도 누가 나의 이름을 명명할 때야만, 부재와 허무에서 벗어나 그에게 가치 있는 존재가 된다는 것이다.


국어 공부

잔소리

  1.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Date2016.05.23 By홍반장 Views247
    Read More
  2.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Date2016.03.24 By홍반장 Views254
    Read More
  3. 학교생활기록부

    Date2016.02.15 By홍반장 Views0
    Read More
  4.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Date2015.11.24 By홍반장 Views1391
    Read More
  5. 신석정 - 들길에 서서

    Date2015.11.09 By홍반장 Views1107
    Read More
  6. 김영랑의 독을 차고

    Date2015.08.20 By홍반장 Views1318
    Read More
  7. 김현승의 눈물

    Date2015.08.20 By홍반장 Views678
    Read More
  8. 문법 문항 풀이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336
    Read More
  9. 고은의 눈길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362
    Read More
  10. 신경림의 농무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420
    Read More
  11.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266
    Read More
  12.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Date2015.06.01 By홍반장 Views417
    Read More
  13. 이용악의 낡은 집

    Date2015.05.21 By홍반장 Views581
    Read More
  14. 신석정의 꽃덤불

    Date2015.05.21 By홍반장 Views696
    Read More
  15. 김춘수의 꽃

    Date2015.05.21 By홍반장 Views644
    Read More
  16.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Date2015.05.13 By홍반장 Views712
    Read More
  17. 천상병의 귀천

    Date2015.05.13 By홍반장 Views519
    Read More
  18. 논술을 써보자

    Date2015.05.11 By홍반장 Views255
    Read More
  19. 정지용의 고향

    Date2015.04.29 By홍반장 Views816
    Read More
  20. 백석의 고향

    Date2015.04.29 By홍반장 Views12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