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29 15:52

정지용의 고향

조회 수 8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향

-정지용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 변해버린 고향 - 고향에 대한 상실감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꾹이 제철에 울건만, ▶ 변함 없는 고향 정경 - 변함 없는 자연

 

 

마음은 제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 낯설게 느껴지는 고향 - 방랑 의식(허전한 마음)

 

 

오늘도 메끝에 홀로 오르니

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 변변함없는 꽃 - 변함 없는 자연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 쓰디쓴 마음 - 변해버린 인간사(고향 상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변함 없는 하늘 - 좌절의 허망감

 

▶▶ 고향 상실과 인생 무상

 

<정지용 시집>(1935)

 

♣ 감상의 길라잡이

 

이 시는 무한한 자연과 인간사를 대조시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고향 상실의 비애를 노래한 시이다.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시의 서정적 자아가 놓인 역사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식민지 시대 지식인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고향 상실 의식. 여기서 고향 상실은 바로 나라를 잃은 설움과 직결될 수밖에 없다. 고향에 돌아와도 예전의 고향이 아니라고 느끼는 그 자리에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뼈아픈 자기 반성이 놓이는 것이다. 나라를 잃은 지식인이면 누구나 방황하는 느낌을 갖는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시는 역사적 맥락에서 읽어야 하며 식민지 시대를 고뇌하며 살아가는 한 지식인의 아픔을 읽을 수 있다.

 

♣ 핵심 사항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회고적, 애상적

심상 : 감각적 심상(시각적, 청각적, 미각적)

어조 ; 애절함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하는 탄식적 어조

제재 : 고향

주제 : 고향 상실과 인생 무상

 

♣ 시어․시구 연구 및 분석

#. 그리던 고향은 아니더뇨. ; 고향 상실 의식으로 인해 고향이 고향처럼 느껴지지 않음.

#. 산꿩이 알을 품고 /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 고향의 자연은 예전과 변함 없이 그대로건만. '산꿩', '뻐꾸기' - 고향의 자연을 대표함. 4연과 짝을 이룬다.

#.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 마음은 제 고향을 느끼지 못하고.

#.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 고향이 고향처럼 느껴지지 않고 낯설게 느껴짐. 항구를 떠도는 구름에 자신을 비유함으로써 방황하고 있는 내면 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항구-낯선 타향

#. 흰 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 고향의 자연은 변함 없이 반갑게 맞아 줌. 2연과 대응을 이룬다. 의인법

#.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1연의 거리감이 구체화되고 있다. 하늘만이 높푸르게 보인다는 것은 그만큼 먼 느낌을 갖도록 한다. 화자의 좌절과 허망감을 표현하고 있다.

 

♣ 생각해 봅시다.

1. 이 시의 서정적 자아의 태도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이 시는 잃어버린 고향에 대한 느낌을 노래하고 있는 점에 유의해 볼 때, 고향에 대한 상실감으로 비탄에 빠져있다.

2. 이 시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의 심정에 대하여 살펴보자.

▶ 2연은 변함 없는 고향의 자연, 3연은 화자의 내면에게 느껴지는 고향의 변화를 통해 '무상감'을 표현하고 있다.

3. 이 시에서 서정적 자아에게 변함 없는 고향의 이미지를 주는 소재를 살펴보자.

▶ 산꿩, 뻐꾸기, 흰 점 꽃

4. 1연의 '그리던 고향은 아니더뇨.'의 이유가 표현된 부분을 찾아보자.

▶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 고향을 낯설게 느끼게 때문이다. 고향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마음으로부터의 고향 상실감에 기인한다.

5. 서정적 자아가 처해 있는 상황을 살펴보자.

▶ 고향에 돌아와도 반겨 주는 이 없는 이방인의 소외감과 고독감으로 고향 상실에 대한 비애를 나타냄

6. 이 시의 주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고향에서 느끼는 상실감, 고향을 잃어버린 자의 그원적인 상실감

♣ 이것만은 알아야

1. 이 시에서 '고향'의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시적자아의 현실적 고향 - 고향에 대한 향수는 대개 이상향에 대한 그리움과 실제의 고향을 그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시에서는 고향은 실재하나 자기 고향이 아니라는 고향 상실 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국가 상실이라는 당대의 민족 현실이 고향 상실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2. 이 시의 형식상의 특징과 그 효과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대조적 연의 균형적 배열로 상실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3. 서정적 자아가 1연과 같이 인식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자연은 옛날과 다름이 없지만 서정적 자아는 동심을 잃어 버려 예전의 그 고향을 느낄 수가 없다. 또한 현실의 고향이 처해 있는 상황이 전과 같지 않음에서 오는 이질감 때문일 수도 있다.

 


국어 공부

잔소리

  1. 권력과 학교에 대한 의문

    Date2016.05.23 By홍반장 Views247
    Read More
  2. 국어 공부에 대한 친절한 안내

    Date2016.03.24 By홍반장 Views254
    Read More
  3. 학교생활기록부

    Date2016.02.15 By홍반장 Views0
    Read More
  4. 수능 기출 현대시 작품 목록(시대순)

    Date2015.11.24 By홍반장 Views1391
    Read More
  5. 신석정 - 들길에 서서

    Date2015.11.09 By홍반장 Views1107
    Read More
  6. 김영랑의 독을 차고

    Date2015.08.20 By홍반장 Views1318
    Read More
  7. 김현승의 눈물

    Date2015.08.20 By홍반장 Views678
    Read More
  8. 문법 문항 풀이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336
    Read More
  9. 고은의 눈길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362
    Read More
  10. 신경림의 농무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420
    Read More
  11. 비문학(독서) 부분의 문제 풀이에 대해 다시 하는 잔소리

    Date2015.06.16 By홍반장 Views266
    Read More
  12. (비문학) 독서에서 정리를 통한 글 읽기와 글 쓰기

    Date2015.06.01 By홍반장 Views417
    Read More
  13. 이용악의 낡은 집

    Date2015.05.21 By홍반장 Views581
    Read More
  14. 신석정의 꽃덤불

    Date2015.05.21 By홍반장 Views696
    Read More
  15. 김춘수의 꽃

    Date2015.05.21 By홍반장 Views644
    Read More
  16.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Date2015.05.13 By홍반장 Views712
    Read More
  17. 천상병의 귀천

    Date2015.05.13 By홍반장 Views519
    Read More
  18. 논술을 써보자

    Date2015.05.11 By홍반장 Views255
    Read More
  19. 정지용의 고향

    Date2015.04.29 By홍반장 Views816
    Read More
  20. 백석의 고향

    Date2015.04.29 By홍반장 Views12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