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입 속의 검은 잎

                             기형도

 

택시 운전사는 어두운 창 밖으로 고개를 내밀어

이따금 고함을 친다, 그때마다 새들이 날아간다

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

나는 한번도 만난 적 없는 그를 생각한다

 

그 일이 터졌을 때 나는 먼 지방에 있었다

먼지의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문을 열면 벌판에는 안개가 자욱했다

그 해 여름 땅바닥은 책과 검은 잎들을 질질 끌고 다녔다

접힌 옷가지를 펼칠 때마다 흰 연기가 튀어나왔다

침묵은 하인에게 어울린다고 그는 썼다

나는 그의 얼굴을 한 번 본 적이 있다

신문에서였는데 고개를 조금 숙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일이 터졌다, 얼마 후 그가 죽었다

 

그의 장례식은 거센 비바람으로 온통 번들거렸다

죽은 그를 실은 차는 참을 수 없이 느릿느릿 나아갔다

사람들은 장례식 행렬에 악착같이 매달렸고

백색의 차량 가득 검은 잎들은 나부꼈다

나의 혀는 천천히 굳어갔다, 그의 어린 아들은

잎들의 포위를 견디다 못해 울음을 터뜨렸다

그 해 여름 많은 사람들이 무더기로 없어졌고

놀란 자의 침묵 앞에 불쑥불쑥 나타났다

망자의 혀가 거리에 흘러 넘쳤다

택시운전사는 이따금 뒤를 돌아다본다

나는 저 운전사를 믿지 못한다, 공포에 질려

나는 더듬거린다, 그는 죽은 사람이다

그 때문에 얼마나 많은 장례식들이 숨죽여야 했던가

그렇다면 그는 누구인가, 내가 가는 곳은 어디인가

나는 더 이상 대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아무도 모른다, 어디든지

가까운 지방으로 나는 가야 하는 것이다

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

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나는 두렵다

출전: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1989>

 

기형도

(1960-1989) 경기도 연평 출생.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1985동아일보신춘문예에 안개당선. 중앙일보 문화부 기자. 시를 통하여 구체적 이미지들의 관념화, 추상적 관념들의 이미지화를 통해 사물과 현상의 법칙성을 규명하고자 애썼다. 유고 시집인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 1989)이 있다.

 

해설

기형도의 시들은 유년시절의 가난, 사랑의 상실, 부조리한 현실의 폭력, 자본주의 사회의 물화(物化)된 인간의 모습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대체로 절망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그의 절망은 절망의 끝까지 가 본 자의 도저한 절망으로, 우리 시에서 보기 드문 풍경에 속한다. 이 시는 폭력적인 현실과 그로 인한 죽음, 공포의 삶을 고도의 상징적 표현 속에 담아내고 있다. 이 시는 분명히 알 수 없는 어떤 사건을 시적 동기로 삼고 있다. 그 해 여름, 화자가 신문에서 한번 본 적이 있는 `'`그 일'이 터진 지 얼마 후 죽었다. 거센 비바람 속에 거행된 `'의 장례식 행렬에 사람들은 악착같이 매달렸고, 많은 사람들이 무더기로 없어졌다가 나타났으며, 망자의 혀가 거리에 넘쳐흘렀다. 그리고 또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아무도 모른다.

그 사건은 80년대 중후반의 시대상황과 관련이 있다. 정치적인 억압과 사회적 통제가 알게 모르게 강화되었던 당시, 권력에 반대하는 비판 세력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시 속의 `'와 없어졌다가 나타난 많은 사람들은 바로 그 세력들을 뜻한다. 그들은 저항의 결과 혹독한 고통을 당해야 했는데, 죽음과 일시적인 사라짐투옥이 그것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공포에 질린 채 침묵을 지킨다. 세계의 폭력에 그들은 굴복해 버린 것이다. `안개'`흰 연기'는 진실을 은폐하는 부정적인 현실을, `'`검은 잎'은 관념적인 지식과 죽음의 징후들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화자 역시 방관자의 한 사람이며, 먼지 낀 책을 읽는 무력한 지식인이었다. `그 일이 터졌을 때 나는 먼 지방에 있었고, `먼지의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여기서 `먼 지방'`먼지의 방'의 발음띄어쓰기의 차이만이 있는과 의미현실과 괴리된 공간으로서의의 양면에 있어서의 유사성이 흥미롭다.

그의 죽음을 목격한 후 `나의 혀는 천천히 굳어갔으며, `공포에 질려 나는 더듬거린다'. 할 말을 하지 못하는 `놀란 자의 침묵 앞에' 용기 있게 실천하는 사람들은 또 다른 압박감으로 다가온다. `침묵은 하인에게 어울린다고 그는' 비판하며, 죽은 `그 때문에' `많은 장례식들이 숨죽여야' 한다. 실천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에게 나약한 방관자들은 부채의식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들은 이중의 억압을 느끼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사람들은 죽음과 폭력을 비굴한 침묵으로 방어하는 대신, 서로에 대한 믿음을 잃고 파편화되며 방향성을 상실한다. 택시 운전사와 그를 믿지 못하는 `', `한번도 만난 적 없는 그'와 나는 서로 먼 거리에 있다. 그러나 더 이상 이런 상태를 지속할 수는 없다. 이제 나는 그가 누구인지, 내가 가는 곳이 어디인지 대답해야만 한다.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모르지만, 예전의 `먼 지방/먼지의 방'이 아닌 `어디든지 가까운 지방'으로 가서 현실에 직접 관여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곳으로 가는 길은 순탄하지 않다.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으로 암시되는 낯설고 황량하며 어두운 현실, `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뜻하는 죽음과 굴복, 타협의 징후들이 끝없이 나를 두렵게 하기 때문이다. [해설: 최동호]


국어 공부

잔소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고은의 문의 마을에 가서 홍반장 2015.03.23 740
55 김광균의 성호 부근 홍반장 2015.03.23 1062
54 고은의 눈길 홍반장 2015.03.24 513
» 기형도의 입속의 검은 잎 홍반장 2015.03.24 414
52 최서해와 신경향파 문학 홍반장 2015.04.02 527
51 봉선화가 일부 해설 홍반장 2015.04.02 641
50 기형도의 식목제 홍반장 2015.04.03 537
49 가전체 소설 홍반장 2015.04.03 908
48 윤선도의 견회요 홍반장 2015.04.06 942
47 국어 문법 file 홍반장 2015.04.17 225
46 경기체가 중 한림별곡 홍반장 2015.04.27 3500
45 광문자전 홍반장 2015.04.27 681
44 고려가요 중 가시리 홍반장 2015.04.28 915
43 박목월의 가정 홍반장 2015.04.28 953
42 이상의 거울 홍반장 2015.04.28 637
41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홍반장 2015.04.28 1279
40 백석의 고향 홍반장 2015.04.29 1291
39 정지용의 고향 홍반장 2015.04.29 816
38 논술을 써보자 홍반장 2015.05.11 255
37 천상병의 귀천 홍반장 2015.05.13 5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